본문 바로가기
사회공부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Feat. 고민하는 청년들)

by FREE MONEYMAN 2023. 7. 4.
반응형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어떤걸 선택해야 할까?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청년들의 경제활동과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금융 상품입니다. 각각의 상품의 장단점을 알아보고 어떤 것이 더 좋은지에 대해서 결론 내려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장단점

 정부 지원금: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에서 매칭지원금과 예금 이자를 제공해줍니다. 이로써 extra 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목적 활용: 청년도약계좌는 창업, 취업, 교육 등 다양한 목적으로 자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금융 교육 프로그램: 해당 계좌 소유자들에게는 금융 교육 프로그램도 제공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령 제한: 해당 계좌에 신청할 수 있는 연령은 19세부터 34세까지로 제한됩니다. 사용 용도 제한: 정부에서 지정한 분야에만 자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의 장단점

 높은 이자율: 청년희망적금은 일반적인 저축 상품보다 높은 이자율을 제공하여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낮은 가입 연령 제한: 15세 이상부터 29세 이하의 청년들이 신청할 수 있으며, 다양한 연령에서 저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의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부 지원금 불포함: 정부로부터의 지원금을 받을 수 없는 제품이므로 추가적인 지원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사용 용도 제한: 저축 목적으로 제공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기 어렵습니다. 어떤 것이 더 좋은지 결론을 내리기 위해선 개인의 상황과 우선순위에 따라 판단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의 지원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점이 장점이지만 사용 용도가 제한되며 연령 제한이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높은 이자율로 저축을 중시하는 청년에게 적합하지만 정부의 지원금을 받을 수 없는 점이 단점입니다.

 

결론과 선택

 결론적으로 개인의 목표와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만약 추가 자금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청년도약계좌가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축에 집중하고 높은 이자를 원한다면 청년희망적금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P.S 저의 경우에는 청년희망적금을 들었으며 내년 2월에 만기가 됩니다. 기본금리와 우대금리, 그리고 비과세혜택을 모두 더하여 연 10~11%의 이율을 누릴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청년도약계좌도 기본, 우대금리가 높아 당장이라도 들고싶은 심정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두 상품을 가입할 수는 없기때문에 희망적금이 만기되는대로 청년도약계좌를 내년에 신청하여 가입할 생각입니다. 많은 사회초년생분들 및 결혼하고 육아에 바쁘지만 목돈을 모으고 싶으신 청년분들 모두모두 응원하고 부자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